국민연금 관련 서류 처리가 불편하셨나요?
매번 지사를 방문하거나 우편을 보내는 번거로움, 이제는 끝입니다.
국민연금 EDI는 사업자를 위한 전자 민원 서비스로, 신고, 신청, 증명서 발급까지 모두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.
2025년 5월 7일부터는 새롭게 개편된 ‘국민연금 통합 플랫폼’을 통해 더욱 편리해질 예정이에요.
✅ 국민연금 EDI 서비스란?
국민연금 EDI(Electronic Data Interchange)는
인터넷을 통해 국민연금 관련 업무를 전자 문서 방식으로 신고·신청·조회할 수 있는 사업장 전용 서비스입니다.
- 국민연금공단 공식 운영
- 서면 제출 없이 온라인으로 처리 가능
- 공동인증서만 있으면 누구나 이용 가능
- 24시간 언제든 이용 가능
📌 사업자는 이 서비스로 뭘 할 수 있을까?
1. 국민연금 신고 업무
업무 | 설명 |
---|---|
자격취득/상실 신고 | 직원 채용 또는 퇴사 시 필수 |
기준소득월액 변경 | 월급 인상 또는 인하 시 변경 |
연금보험료 납부예외 신청 | 군 복무, 휴직 등 사유 있을 때 |
소득총액 신고 | 매년 소득 기준 정산용 제출 |
건설일용직 경정신고 | 건설업종 사업장 필수 업무 |
2. 증명서 발급
- 사업장 가입증명서
- 국민연금 납부확인서
- 자격변동 통지서
- 연금산정용 가입내역 등
→ 모두 온라인으로 즉시 발급 가능
3. 통지서 수신 및 결과 조회
- 보험료 결정 내역 자동 수신
- 신고 처리 결과 확인
- 오류 반송 시 처리 내역 확인
🧾 국민연금 EDI 신청 방법
별도 복잡한 절차 없이, 공동인증서만 있으면 바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.
✔ 가입 및 이용 절차
1️⃣ 국민연금 EDI 홈페이지 접속
→ https://edi.nps.or.kr
→ 포털에서 “국민연금 EDI” 검색해도 가능
2️⃣ 사업장관리번호 입력
→ 국민연금공단에서 발급받은 번호
3️⃣ 공동인증서 로그인
- 법인사업자: 사업자등록번호로 발급받은 인증서
- 개인사업자: 대표자 주민등록번호 기반 인증서도 가능
4️⃣ 신청 없이 바로 이용
→ 회원가입 없이 로그인만 하면 바로 서비스 이용 가능
🔐 국민연금 EDI 비밀번호가 필요한 경우
일반적인 사용에는 공동인증서로 충분하지만,
분리적용 사업장(본점-지점 분리 운영)의 경우에는
지점 보호를 위해 ‘사업장 전용 비밀번호’를 추가 입력해야 합니다.
이 비밀번호는
- 지점에서 자체 설정하거나
- 국민연금공단을 통해 확인/초기화가 가능합니다.
❓ 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국민연금 EDI 이용은 유료인가요?
→ 아니요, 국민연금공단 EDI 홈페이지를 이용하면 무료입니다.
(단, KT 사회보험 EDI 프로그램은 인원수에 따라 유료입니다)
Q2. 국민연금 EDI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?
→ 별도 신청 없이, 사업장관리번호와 공동인증서만 있으면 바로 이용 가능합니다.
Q3. 비밀번호가 기억나지 않으면 어떻게 하나요?
→ 국민연금공단 관할 지사나 고객센터를 통해 재설정 또는 초기화가 가능합니다.
✨ 마무리: 사업장 필수 서비스, 국민연금 EDI
사업자라면 필수로 알아야 할 국민연금 EDI 서비스,
이제는 서류로 번거롭게 처리할 필요 없이,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신고부터 증명서까지 해결할 수 있습니다.
2025년 5월 7일부터 더욱 업그레이드된 시스템이 제공되니, 지금 미리 익혀두고 스마트하게 연금업무를 처리해보세요!